일상 (3) 썸네일형 리스트형 통계의 함정 : 백신의 효용성과 부작용의 관계 요즘 백신에 대한 불신이 깊어져 접종을 거부하는 움직임이 상당하다. 한때 메크로까지 동원하여 백신을 예약하던 시기가 있었지만, 현재는 잔여 백신을 조회하면 어렵지 않게 접종을 받을 수 있다. 백신을 맞고 안맞고는 개인의 선택이다. 그러나 잘못된 정보를 통해 선택이 이루어지는 상황은 최대한 지양해야 한다. 아래 그림은 오늘 내 유튜브 알고리즘에 뜬 영상인데, 위중증 환자의 절반이 2차백신 접종자라는 결과를 통해 백신의 효과를 부정하는 내용이고, 댓글도 대부분 그런 내용이다. 그냥 정치 유튜버면 모를까 이 채널은 언론을 표방한 채널이며 꽤 많은 구독자를 보유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통계의 함정에 빠져 결과를 잘못된 방향으로 해석하고 있다. 본 글에서는 영상에서 발생한 통계적 오류를 지적한다. 정확한 수.. 디지털신기술분야 핵심인재양성 컨퍼런스 후기 용산 드래곤시티에서 개최된 디지털신기술분야 핵심인재양성 컨퍼런스에서 강연을 듣는 중이다. '당신의 모든 것이 메시지다' 라는 제목으로 발표를 하신 송길영 바이브컴퍼니 부사장님의 기조연설에서 인상 깊은 내용이 있었다. 세상은 빠르게 변하고 있고, 많은 변화중에서 이해가 부족한 내용들이 있었다. 그것들에 관해 나름대로 해석을 해주신 부분이 많았는데, 인상 깊었던 내용은 배달 어플의 성공 이유에 관한 내용이다. 그동안 배달의 민족과 같은 배달 앱이 성공할 수 있었던 이유는 배달 음식을 주문할 때 전화보다 어플이 편리하다고 생각해 왔었다. 나의 경우 정확히 따져보면 배달 어플이 전화보다 압도적으로 편리하다는 느낌은 없다. 업데이트를 하고 난 직후는 오히려 전화보다 불편했던 기억도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배달 .. 비판적 사고와 권위의 상관 관계 선동과 날조, 사기와 속임수가 난무하는 요즘 비판적 사고는 생존에 필수적인 스킬이 되어버린 것 같다. 하지만 사람들은 본인에게 듣기 좋은 말이라면 비판적으로 생각하지 않고 그대로 수용하는 경우가 많다. MBTI 처럼 아무 과학적 근거 없이, 모든 사람들에게 좋은 점 위주로 설명하는 심리 검사가 유행하는게 이런 이유이지 않을까 싶다. 하지만 몇년 전 방송인 김제동은 젊은 구직자들에게 취업이 안되는건 사회탓이라는 위로 아닌 위로를 했다가, 엄청난 비판(비난)에 시달렸다. 이는 듣기 좋은 말을 하고도 욕을 먹은 희귀한 사례에 속한다. 욕먹은 가장 큰 이유는 본인이 노력을 안해놓고서 사회를 탓하는 남탓, 책임 회피성 생각을 심어준다는 이유였다. 김제동을 비판하는 사람들을 보며, 과거에 비해 감언이설에 속지 않고.. 이전 1 다음